#경제/이슈

다음 주가 약간 걱정되는 이유

RYUNSU SUNG
PRO

2023-02-01 · 11 MIN READ

경기회복으로 인한 상승세, 기업들의 암호화폐 투자는 리스크로 작용

*2021-04-18글


MARKETS


이번주 상승률


S&P 500: 1.48%

Dow Jones: 1.29%

Nasdaq: 1.78%


이번주에도 나스닥지수가 상승을 주도했지만 세 지수 모두 크게 다르지 않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주 후반에 다우존스산업지수가 따라잡기를 한 것은 주요 은행 실적(BAC, JPM, GS, WFC 등) 이 예상보다 좋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나스닥 지수는 14,000 포인트를 넘어서서 전고점을 회복했다. 다만 전고점에 다가갈수록 상승이 둔화되는 움직임을 보여서, 확실한 상승 추세에 돌입 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자료: Investing.com 


장기금리는 최근 몇주간 1.6~1.7% 사이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는데 목요일에 갑자기 1.5% 초반까지 폭락하며 시장 참여자들을 의아하게 만들었다. 그날은 3월 미국 소비가 전월대비 9.8% 증가하며 예상치를 훌쩍 뛰어넘는 등 경제에 긍정적인 뉴스가 나왔던 날이기 때문이다.



자료: Bloomberg


미 국채 금리가 갑작스레 내리꽂은 주요 이유로는 "일본 보험사들이 미국 국채를 매입할 것이라는 기대"가 지목되고 있다. 일본 기업들은 회계연도가 4월부터 시작하고 그해 경영계획이 나오는데 최근 몇달간 미국 국채의 금리 매력도가 일본 국채보다 높아지면서 한동안 미국 국채를 매도하던 큰손 보험사들이 다시 매수주체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금처럼 미국 경기가 주요 선진국중에서 가장 빠른속도로 회복하고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들의 백신접종 속도가 낮게 유지되면 경기가 활황인 동시에 금리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는 골디락스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SECTOR PERFORMANCE


자료: Finviz.com 


주요 대형주는 지난주보다 상승 강도가 약해졌다. 유틸리티 (+3.66%), 기초소재 (+3.24%), 헬스케어 (+2.88%) 가 이번주 상승을 이끌었고 이번주에 하락한 섹터는 통신 서비스 (-0.01%) 밖에 없었다. 


Tech 전체로 보면 큰 변동이 없었고 Adobe Inc (Nasdaq: ADBE), Oracle (NYSE: ORCL) 등 개별 기업들의 실적이 발표됨에 따라 주가가 이를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도체는 엔비디아 (Nasdaq: NVDA) 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하락을 보였다. CPU 설계/제조기업인 인텔 (Nasdaq: INTC), 메모리반도체를 제조하는 마이크론 (Nasdaq: MU) 은 4~5% 대 하락으로 섹터를 주도했다. 엔비디아의 경우 회사의 데이터센터용 ARM CPU 시장에 뛰어들겠다는 발표로 주가가 급등한듯 한데, 과민반응으로 보인다. 엔비디아는 예전부터 ARM CPU 를 설계하고 판매 했었다.


에너지는 보합이었다. 섹터 특성상 유가에 따라 주가가 연동되는 추세를 보이는데, 최근 몇주간 유가는 박스권에 갇힌듯한 모습을 보여왔다. 여름에 가까워짐에 따라 유가는 다시 상승추세를 이어나갈것으로 보인다. 공교롭게도, 최근 미국 최대 항공사 중 하나인 Delta Airlines (NYSE: DAL) 는 여름부터 흑자전환이 가능할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미국 에너지정보국) 은 이번주 단기 에너지수요 전망에서 일일 원유 사용량추정치를 20만 배럴 상향하고, 2022년에는 2019년을 뛰어넘는 수준의 원유 사용량을 기록할 것이라 전망했다. 최근 몇달간 부정적인 전망을 연속해서 내놓은것과는 사뭇 다른 입장이다.


금융주는 이번주에 깜짝 실적을 발표했는데, 모든 은행들이 기존에 설정한 대손충당금(대출에 대한 손실을 예상하고, 이를 충당하기 위해 미리 적립 해놓은 금액) 을 환입하면서 작년의 손실이 고스란히 이익으로 전환 되었기 때문이다. 해당 사실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은 두 가지다:


1) 대출 부도율이 하락하는중: 은행이 예상한것보다 손실난 대출이 적다는것은 고위험 채권에 좋은 소식이다.

2) 소규모 기업의 실적이 예상보다 좋음: 경기에 민감한 소형기업들은 주로 신용도가 낮다. 이들은 기업대출 손실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은행이 대손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이라는것은 이들이 이자 + 원금상환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헬스케어 섹터도 괜찮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특별한 호재나 뉴스가 없었다. 헬스케어 섹터가 올해 다른 섹터에 비해 오름폭이 덜해 따라잡기 장세였던것으로 생각된다.


유틸리티•기초소재 모두 미국의 소비 및 경기회복에 밀접한 연관이 되어 있는 섹터이다. 좋은 경기지표가 연속으로 발표 되면서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는것으로 추정된다.


ECONOMY


Key Points


이번주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576k / 예상치: 700k 긍정적

이번주 원유 재고량: 588만 감소 / 예상치: 288만 감소 매우 긍정적

3월 리테일 판매 (전월대비): +9.8% / 예상치: +5.9% 긍정적

4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지수: 50.2 / 예상치: 42.0 긍정적


가끔씩 비판적으로 굴 필요는 있지만 숫자만 보면 도저히 나쁜 얘기를 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아직까지 백신접종이 완벽하게 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이렇게 좋은 숫자들은 시작에 불과할 수 있다. 3월 소비지표는 매우 긍정적으로 나왔지만, 미국정부가 현금을 뿌린 상황에서 나온 지표이기 때문에 돌다리를 두들겨보는 심정으로 바라볼 필요는 있다.


또 원유 재고량은 2주 연속 예상치보다 가파른 감소치를 보였는데, 텍사스 한파로 인해 중단된 석유화학 설비들이 다시 가동하면서 예상치보다 많은 원유를 사용한것으로 보인다. 2,3월에 예상보다 원유 재고량이 늘었을 때 걱정할 필요 없다고 말씀드린 이유이기도 하다.


Weekly News


1. 미국인들, 주식시장 보다 집을 더 매력적인 투자처로 생각해

2. 마이크로소프트, 음성인식 AI 기술기업 Nuance Technologies 인수

3. 중국정부, 철강 생산 제한에 어려움 겪어

4. 코인베이스, 83조원 기업가치로 상장

5. 아마존, 이제 2억명이 넘는 Prime 회원 보유

6. 미중무역 분쟁에도 불구하고 ‘파리협약’ 지키기 노력하는 양국정부


이번주 주목해볼 FACT 1




하늘색 선은 비트코인, 파란색 선은 Tesla (Nasdaq: TSLA), 노란색선은 S&P 500 지수이다. 테슬라의 경우 시장보다는 비트코인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테슬라가 현금을 비트코인으로 보유한 결정도 영향을 주겠지만 CEO Elon Musk 가 트위터를 통해 팬들과 소통하면서 자신의 이미지를 코인과 동일시한 영향도 있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다.




문제는 주말사이 비트코인이 10% 정도 하락했다는것이다. 테슬라 이외에도 Square (Nasdaq: SQ), Microstrategy (Nasdaq: MSTR) 등의 기업들이 현금 일부를 비트코인으로 보유중이다. 만약 테슬라가 큰폭으로 하락한다면 나스닥, 주식시장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번주 주목해볼 FACT 2


자료: Refinitiv


미국 펀드매니저들 설문조사 결과 현금보유 비중이 최근 3년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가가 사상 최고치니 당연한 얘기일 수 있지만, 향후 위험을 대비해 현금을 일정부분 가지고 가는게 중요해보인다.


SUMMARY


1. 경기회복은 현재 진행형이다. 수혜섹터 (소비재, 기초소재, 에너지, 숙박, 여행 등) 에 집중하자

2. 주가지수가 사상최고치를 경신한것은 이런 강한 경기회복을 반영한것이지만, 펀드매니저들의 현금비중이 상당히 낮은수준이다.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