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GS 이익률의 핵심과 성장여력
*2021-06-10 글
왜 이런걸 생각하지 못했을까?
“우리는 D2C 의료용 의류 및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입니다" 라고 FIGS는 자사를 소개한다. 우리가 병원을 가면 흔히 의사와 간호사 선생님들은 병원이 지급하는 흰색혹은 파스텔톤의 밋밋한 가운과 유니폼을 입게 마련인데, FIGS는 이런 칙칙한 의료세계에 트렌디 하면서도 실용적인 의류 브랜드로 거듭나고자 했다.
의사와 간호사는 인구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소득이 대체적으로 높기 때문에 의료용 브랜드가 우리에게 아직까지 잘 안알려져 있던것은 대게 병원에서 가운과 유니폼을 지급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아래는 한 간호사가 FIGS의 제품을 입어보고 내린 평이다:
“I wore hospital scrubs first, then Dickies. When I finally tried Figs, the difference was like night and day. They are extremely comfortable and stretchy in the right places.”
“전 원래 병원에서 준 가운을 입었었고, 그 다음엔 Dickies것 을 사입었어요. 마침내 Figs를 시도해봤을때는, 맙소사, 완전 천지차이였어요. Figs 가운은 엄청나게 편안하고 알맞은 곳들이 알맞게 늘어나요"
의료인력은 상대적으로 일하는 시간이 길고 불규칙하며 일반 사무직에 비해 활동량이 상당히 많은편이다. 따라서 그들에게 맞는 편안한 의류는 상식적으로 당연해야 하지만, 대부분 병원들은 대량의 옷을 주문제작 해서 맞춰입었기 때문에 직원들이 얼마나 편안한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었다. FIGS는 이런 빈틈을 활용해서 의료인력들이 좋아할만한 의복 브랜드를 만들어낸 것이다.
세상에, 갓 상장한 기업이 흑자를 냈다니
요즘 상장하는 기업중에 흑자를 낸 기업이 하나라도 있을까? 쿠팡 (NYSE: CPNG)부터 시작해서 Roblox (NYSE: RBLX)까지, 최근 상장을 진행한 기업들은 대부분 지금 적자는 나지만 이 속도로 성장하면 미래에는 큰 이익을 가져다 줄것으로 기대되는 스타트업이 대부분이었다.
2020년 FIGS는:
- - 263.1백만 달러 (약 2900억원)의 매출
- - 전년대비 매출 성장률 138%
- - EBITDA 마진률 26.3%
를 달성했다. 특히 영업비용을 제외한 매출총이익률 (매출-제품원가)은 73%에 달했는데 이는 의류업계 내에서도 상당히 높은수준이다.
높은 이익률의 핵심은 D2C에
FIGS의 높은 이익률은 바로 D2C (direct-to-consumer), 직접판매 모델에 있다. 의료인력 전용 의류를 파는 판매점은 오프라인에 내기 쉽지않다. 해당 지역의 유동인구중 소수만 의료계 종사자일것이며, 따라서 FIGS는 자사 웹사이트에서만 의류를 파는 전략을 실행했고, 이 전략은 먹혔다.
2020년 FIGS의 순이익은 49백만 달러 (약 550억원)로 전년대비 무려 50배 가까이 증가한 순이익을 자랑했고, 1년~3년전 FIGS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의 재구매율 또한 75~50%로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보였다.
현재 시가총액은 53억 달러 (약 5.9조원)에 달해서 단순히 PER만 보면 100배가 넘지만, 최근에 상장한 기업치고 이익이 난다는 사실 자체가 어느정도 놀라운 일이다.
아직 많이 남아있는 성장여력
2020년은 일반인에게나, 의료인에게나 특별했던해이기에 FIGS의 영업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출 성장률은 점점 둔화될 수 있다.
그러나 미국에만 현재 2000만명의 인력이 의료계에 종사중이고 따라서 관련 의류시장의 규모는 약 13조원에 달할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FIGS를 거친 고객들은 150만명에 불과하며 전세계 의료 종사자용 의류시장은 88조원에 달할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앞으로 FIGS가 알맞은 성장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데 성공한다면 이런 높은 밸류에이션이 정당화될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