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경제/이슈

다시 Tech 으로 가야할까?

RYUNSU SUNG
PRO

2023-02-01 · 8 MIN READ

테이퍼링 논의 재개 주목 필요, But if..

*20221-06-13 글


MARKET



자체 제작한 차트로 교체하면서 중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을 포함시킬수 있게 되었다. 러셀 2000은 미국에 상장된 거의 모든 기업을 추종하는 지수인 러셀 3000에서 상대적으로 시가총액이 작은 2000개 기업을 추종하는 지수다. 따라서 코스닥 거래소에 상당된 기업들만 추종하는 코스닥지수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


주간 상승률 1위는 러셀 2000 이었고, 나스닥지수가 그 다음을 이었다. 다우존스산업지수는 -0.80%로 유일하게 하락했는데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떨어진 장기금리가 금융주의 부진을 야기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러셀 2000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던 이유는 1) 상당히 높은 인플레이션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게 유지되는 금리가 소규모 기업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가장 타당해 보인다.


이전 리서치글을 통해 장기금리 상승의 타이밍을 기존 지금에서 8~9월로 조정했는데, 올해 연말까지 2~2.5% 사이의 미 10년물 국채금리를 볼 수 있을것이라는 절대적인 숫자에는 변함이 없다.


SECTORS



헬스케어 (+2.01%), 부동산 (+1.97%), 그리고 정보기술 (+1.39%)이 상승세를 이끌었으며 금융 (-2.37%), 소재 (-2.04%)가 하락세를 주도했다.


부동산은 무려 4주 연속으로 강세를 보였다. 경제재개 효과 + 주택부족 문제에 더해 금리까지 떨어지면서 부동산의 수익률을 계속해서 높여주고 있다. 그러나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장기금리가 갑작스레 하락하면서 상승을 지속시켰다는 생각이 드는만큼 금리가 다시 상승추세로 돌아갈 경우 일시적인 약세가 예상된다.

헬스케어는 오랜만에 주도섹터가 되었는데 바이오젠 (NASDAQ: BIIB)의 치매약이 FDA에 “조기 승인"을 받으면서 (주로 암치료 관련 약물에 적용되지만, 임상을 진행해야 최종 통과가 결정된다) 큰폭의 상승을 이끈것이 도움이 되었다. 또 바이든 대통령이 5억회분에 달하는 백신을 구입해 저소득 국가에 기부한다고 밝혔던게 백신관련 기업들의 주가를 움직였다.

정보기술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하락하는 장기금리라는 뒷바람을 맞아 상승세를 이어나간것으로 보인다. 장기금리 하락세가 지속되거나 정체된다면 기술 종목의 주가 부활로 이어질 수 있지만, 다음주엔 FOMC가 있고 그동안 멈춰있었던 테이퍼링에 관한 논의가 시작될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대표적인 경기민감 섹터인 금융, 소재와 산업재는 하락세를 보였다. 아무래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지 않을것이라는 전망과 경기가 생각보다 좋지 않다는 인식이 반영되면서 하락을 한것으로 보이나, 아직까지 해당 섹터의 이익개선은 현재 진행형이다. 다만, 2분기에 고점을 찍을것이라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에너지는 지난주에 6% 넘게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으나 유가가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중이기 때문에 하락폭은 크지 않았다.

ECONOMY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37만 6천건으로 이전대비 소폭 감소 했지만 기대에 살짝 못미쳤고, 구인구직건수는 예상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치솟아 올랐다. 그러나 구인구직수는 더 늘어나고 있고 노동력 공급은 아직도 엄청나게 부족하다. 상당수의 사업장은 임금을 올리는 방식으로 노동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에 의하면 피츠버그에 있는 어떤 아이스크림 가게는 1~3월 동안 아르바이트에 지원자를 한명도 못 구하다 시급을 2배로 올리자 지원자가 1000명이나 몰리는 기염을 토했다고 한다.

서비스업 물가는 해당 업종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임금수준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렇게 계속해서 임금이 오르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고 장담하기엔 어렵다.




노동자를 구하기 힘든 또다른 이유는 역대급으로 많은 사람들이 창업을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USA 투데이는 전한다. 심각한 노동력 공급부족 때문에 많은 회사들이 오랜기간 동안 일자리가 없었던 사람들도 채용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6개월에서 1년의 커리어 공백기간이 있었다면 의심의 눈초리로 면접자를 바라보았다면, 이제는 신경조차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NEWS

  1. 1.소기업들, 노동력 부족으로 시급 올리는 중
  2. 2. 실리콘밸리, 탈중앙화된 금융을 위해 DeFi 프로젝트에 투자중
  3. 3.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석유/가스 프로젝트에 지출을 아예 없애는것 불가능하다고 밝혀
  4. 4. 바이오젠, FDA로 부터 치매약 조기승인 받아
  5. 5.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 13년만에 최대폭 상승
  6. 6. FBI, 테러리스트 잡기위해 가짜 암호 메신저 배포; 800여명 구속해
  7. 7. 자율주행 스타트업들, 상장행



FACTS




사진은 미국 연준의 역-레포 시장에 쌓여있는 돈이다. 역-레포 시장은 간단히 말해 은행이 연준에 남는돈을 하룻동안 맡기고 이자를 받는 시장이다. 그리고 지금은 0%를 받는다. 은행들은 남는돈에 대한 이자를 조금이라도 받기 위해 노력하는데, 현재 단기물 채권 시장에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가진 상품이 흔하다고 한다. 돈을 보관하려면 오히려 돈을 줘야하는 셈이다. 저번주 목요일자로 연준의 역-레포 시장에 몰린돈이 550조원에 육박 했었다는데, 시장에 유동성이 넘쳐나고 있다는것을 드러내는 단적인 예다.


SUMMARY

  1. 1. 생산자물가, 임금상승 추세를 보았을때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지 않을것으로 예상된다.
  2. 2. 다음주 FOMC 에서 연준이 지속적으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시사하면 Tech, 그렇지 않으면 피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