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주식/투자

'웰니스' 트렌드를 올라탄 음식료 기업 (52주 신고가)

RYUNSU SUNG
PRO

2023-04-06 · 7 MIN READ

단백질 등 필수 영양소를 간편하게 섭취하게 도와주는 이 기업

좋은 저녁입니다. 이번주 수요일에 JOLTS (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가 9.9백만으로 발표되면서 전월의 10.6백만 보다 대폭 줄어든 숫자를 보였습니다.




핫했던 노동시장이 점점 쿨다운 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 지표는 2년내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팬데믹 이전의 7백만 보다는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바로 '추세'입니다. 기업들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시작되면 이 수치는 급격하게 내려갈 수 있습니다. 구조조정을 하면서 채용을 동시에 진행하는 회사는 몇 없으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시장 상황에 무관하게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기업들 중 관심 가져볼만한 기업을 하나 선정해서 소개 시켜드리는 시간입니다.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는 건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은 식음료 브랜드 하면 어떤 기업이 떠오르시나요? Kraft Heinz (KHC), Coca-Cola (KO) 같은 기업들을 먼저 떠올리실것 같은데요, 이런 거대 기업들보다 더 높은 투자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기업들은 소규모에 성장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먼저 이 회사가 영업하고 있는 시장환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식음료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트렌드 카테고리인 글로벌 간편 영양식 카테고리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미국은 우리의 주요 시장이며, 이 카테고리에서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발전된 시장입니다. 미국 간편 영양 카테고리는 일상 영양, 성인 영양, 스포츠 영양, 체중 관리 등 네 가지 주요 소비자 니즈로 분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회사는 식음료 산업 중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간편 영양식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제품을 생산 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회사의 이름은 바로 BellRing Brands (BRBR)으로, 상장한지 2년이 채 되지 않은 기업입니다만, 두개의 브랜드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매출액의 81%를 차지하는 Premier Protein 브랜드와 15%를 차지하는 Dymatize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일상 영양, 성인 영양, 스포츠 영양, 체중 관리 등 네 가지 소비자 니즈를 타겟하여 만들어지는 브랜드군 입니다.


회사가 가장 많이 팔고있는 제품군은 단백질 쉐이크인데요, 전체 매출의 79%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이는 '일상 영양'을 타겟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쉐이크 형태로 단백질을 마시기 쉬운 형태로 섭취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은 파우더 제품군인데요, 매출의 17.7%를 차지했는데 '스포츠 영양'을 타겟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우리나라도 요즘 헬스하는 사람들 위주로 단백질 파우더를 많이 섭취하는데, 미국은 단백질 파우더 섭취가 상당히 보편화 되어 있습니다.


이 두가지 브랜드군 모두 지속되는 '웰니스' 트렌드와 맞닿아 있습니다. 사람들은 점점 맛있으면서도 몸에 도움이 되는 식음료 제품들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설문조사 전문 기관 닐슨의 데이터로도 확인이 됩니다. 


새로운 닐슨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시장 점유율 경쟁에서 승자와 패자가 가려졌습니다.


3월 25일까지 최근 4주 동안 전체 포장 식품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으며, 가격은 10.5% 상승하고 판매량은 1.3% 감소했습니다.


지난 4주 동안 연속적으로 150 베이시스 포인트 이상 상승한 식품 기업으로는 BellRing Brands (NYSE:BRBR), Dole plc (DOLE), Mission Produce (AVO), Sovos Brands (SOVO) 등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재무 성과는 어떨까요?



2020년 9월에 비해 TTM (Trailing Twelve Months; 지난 12개월간)의 매출 실적은 44% 증가했고, 매출총이익은 33% 증가했습니다.


여기서 하나 아쉬운 점은 매출총이익률 (Gross Profit Margin)이 34%에서 31.6%로 240 bp 가량 낮아졌다는 겁니다. 회사는 줄어든 마진에 대해 원자재 가격의 상승을 주된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그러나 긍정적인 점은 바로 생산능력의 확대입니다. BRBR은 직접 제조설비를 운영하지 않고 위탁 생산을 맡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탁생산 능력이 수요를 쫓아가지 못해 현재 더 높은 생산능력을 확보했고, 23년 하반기 들어 그 효과가 나타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4년 실적 전망치가 현재 낮은 상황인데, 회사가 성공적으로 위탁생산 물량을 늘리고 판매 볼륨을 높인다면 외형 성장과 내적 성장 (마진율 개선)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