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매크로와 주가는 관계가 있을까?

RYUNSU SUNG
PRO

2023-05-07 · 4 MIN READ

금리가 치솟자 같이 치솟은 빅테크

안녕하세요 좋은 오후입니다.


이번주 미국증시를 한 줄로 요약하자면 '이보후퇴 일보전진'입니다.



4대지수의 성과를 보면 이번 주 내내 하락하던 증시는 금요일에 예상보다 좋은 고용지표 (고용자수 253,000명 증가, 실업률 3.4%로 하락)가 발표됨에 힘입어 상승 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나스닥지수는 금요일의 반등 덕분에 주간을 +0.10% 상승으로 마감했으며, 러셀2000지수는 -0.42%, S&P 500 지수는 -0.80%, 다우존스산업지수는 -1.26%로 마감했습니다.


이상한 일입니다. 한동안 Bad is good, good is bad라는 기조로 부정적인 지표가 나올때는 금리가 떨어진다는 기대감으로 오르던 주식시장이 최근 들어서는 경기침체 우려로 주가를 떨어트리는 원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미디어'나 주식 '전문가'들 설명에 의하면 그렇단 말입니다.


어웨어는 매크로 (경제전반)를 참고하되 지나치게 참고하면 주식투자에 독이 된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매크로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는 영역은 크게 두 영역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국채 및 원유.



업종별 주간 등락률을 보면 에너지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금융이 그 뒤를 따랐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융이 하락한 것은 또 하나의 은행이 파산을 앞두고 JPMorgan에 인수된 영향이었겠지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하락은 구체적인 이유를 부여하기 어렵습니다. 그동안 많이 올랐다 정도?


에너지는 유가의 큰 폭 하락을 뒤따르며 하락했습니다. OPEC이 원유 감산에 동의했지만 경기침체 우려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60:40 포트폴리오는 유효한 것인가?




세계에서 가장 큰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주요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여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지금의 새로운 패러다임 에서는 기존의 60/40 포트폴리오가 적합하지 않다고 합니다.




회사는 투자자들에게 자산 배분을 더 자주, 미세 조정하여 새로운 체제에 적응할 것을 조언합니다. 투자자들에게 방어적인 주식 섹터, 단기 국채, 인플레이션 연계 채권으로 자산 배분을 기울일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뱅가드에 따르면 단기적인 경제 전망은 무시하고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라면 60/40 포트폴리오가 여전히 좋은 시작점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장기적인 성과가 좋아졌을 확률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이 처럼 기관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나뉘는 60/40 포트폴리오, 어웨어의 입장은 오히려 지금이 60/40 포트폴리오를 도입하기 딱 좋을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들어서는 또 채권 (국채)은 경기침체를 반영하여 움직임을 보이는중이며, 주식은 가이던스를 반영하여 재산정 (re-pricing)되고 있는중이거든요.